본문 바로가기
MyStudy

다문화가족 형성배경과 가족관계의 이해

2020. 7. 27.

1. 다문화가족 형성 배경

다문화가족은 결혼이민자는 물론 귀화자, 출생이나 인지 또는 귀화에 의한 한국인으로 구성된 가족으로 그 범위가 넓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인식은 결혼이민자라는 범위가 한정된 좁은 개념을 갖고 있다.
◆ 다문화가족의 유형

 

 

1) 다문화가족 현황

◆ 2016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통계

 

 

◆ 다문화가구 가구원 : 963,174명

 

 

◆ 2016년 다문화가족지원 포털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 현황 통계자료

 

 

◆ 부모의 출신지역

 

 

2) 국제결혼의 일부 특성

다문화가족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부부간 연령 차이, 교육 수준, 직업군의 분포 등 내국인 결혼과는 다소 상이한 프로파일을 보인다. 또 배우자의 직업군의 특성 역시 눈여겨봐야 한다. 많은 다문화가족이 경제적인 어려움과 문화적응의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다문화가족은 곧 지원대상이라는 낙인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20%의 다문화가족은 중산층 혹은 그 이상의 경제적 수준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정작 지원이 필요 없는 대상에게까지 무상지원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형평성 논란을 낳고 있다.

3) 다문화가정의 아동

다문화가정 아동의 상당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기반이 취약하기 쉽다. 왜냐하면 아버지와 어머니의 다른 생활방식과 가치관 등 이중문화 속에서 성장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체성 혼란을 포함하여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이중언어 사용으로 인하여 언어 습득 지체현상이 나타난다. 자녀교육을 주로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우리나라 특성상 어머니가 외국인이거나 결혼이민자인 경우 아이의 한국말이 서툴 수 있다. 또 가족 내 이중문화의 존재로 인해 갈등과 고통, 긴장이 잔존할 수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까지 있으면 가족 안정성이 떨어진다. 특히 농촌지역의 경우 가정폭력, 불화 등의 문제로 인해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이 70%를 차지한다.

 

2. 다문화가족 가족관계의 이해

1) 선행연구 결과

다문화가족 부부관계 적응에 가장 중요한 영향 요인에는 가족들의 다문화 가치관, 언어능력, 생활적응, 지역사회 지지기반의 유무 등이 있다.

2) 배우자의 다문화가치관

◆ 문화 동화주의적 가치관
모든 생활 영역(언어, 의식주, 경제, 가치관)에서 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적응하기를 강요하는 경우 다른 문화권에서 성장한 배우자의 결혼생활 적응 수준을 낮춘다.
◆ 가족의 문화다원주의적 태도의 긍정적 측면
외국인 배우자의 결혼생활에 대한 적응을 돕고, 다문화가족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의사소통의 문제

부부간 의사소통 유형에서도 사회적 소수자들이 지배 문화나 사회 주류 문화로 동화되는 문화동화주의적 적응을 보인다. 남편인 배우자가 어느 하나의 문화가 우월하지 않고 다양한 여러 문화를 인정하는 문화다원주의적 태도를 가질수록 아내의 모국어를 배우려 한다. 그러면 부부간 의사소통에 한국어와 아내의 모국어를 혼용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부부간 의사소통에 한국어와 아내의 모국어를 혼용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이처럼 언어를 혼용하는 부부일수록 친밀감이 높고, 부부간 만족도 역시 높다. 또 아내에게 맞추려는 노력의 수준은 남편의 나이와 반비례한다. 남편의 나이가 많을수록 소극적이며, 문화동화주의적 태도가 강하다.

4) 의식주 생활문화의 차이

의사소통 문제 다음으로 지적된 어려움이 바로 음식과 관련된 갈등 요소이다. 그래서 모국의 음식에 대한 가족의 수용태도, 결혼이민자 배우자의 정신건강 및 한국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문화동 화적인 태도로 모국의 음식을 하대하거나 기피하는 경우 배우자의 결혼 만족도가 낮고 적응 스트레스가 높다. 반면 외국인 배우자의 고유음식이 가족메뉴의 일부가 되는 경우 배우자의 결혼만족도가 높고 적응 스트레스가 낮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 달리 더운 지역에서 온 배우자의 경우 노출에 대한 시각이 다를 수 있다. 또 겨울철 적절한 실내온도 유지에 대한 갈등 역시 생길 수 있다.

 

5) 사회적 지원

사회적 지원의 양은 부부의 결혼 적응력과 비례한다. 이러한 사회적 지원은 부인의 고립을 예방한다. 또 멘토링 프로그램, 주변에 다문화 지원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결혼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