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아기 아동을 위한 문학교육
유아기 아동을 위한 문학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인 3~5세 누리과정과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서 문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에서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언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포함하여 의사소통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다.
1) 3~5세 누리과정
①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과 바른 언어사용습관을 기른다는 목표이다.
- 다른 사람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 태도와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게 말하는 능력을 기른다.
- 글과 책에 친숙해지는 경험을 통해 글자모양을 인식하고 읽기에 흥미를 가진다.
- 말과 글의 관계를 알고 자신의 생각, 느낌, 경험을 글로 표현하는데 관심을 가진다. 이 목표에 따른 교육 내용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그에 따른 내용을 연령별로 제시하고 있다.
② 의사소통 영역의 연령별 내용
③ 의사소통 영역의 문학 관련 세부 내용
2)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①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
ⓐ 0~1세 : 말소리를 구분하고 의사소통의 기초를 마련한다.
- 주변의 소리와 말소리 듣기에 관심을 보인다.
- 표정, 소리, 몸짓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
- 목학교육과 직접 관련된 목표인 짧은 그림책이나 친숙한 환경 인쇄물에 관심을 가진다.
- 끼적이기에 관심을 가진다.
ⓑ 2세 : 의사소통 능력의 기초를 기른다.
- 다른 사람의 말과 짧은 이야기 듣는 것을 즐긴다.
-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말로 주고받기를 즐긴다.
- 문학교육과 직접 관련된 목표인 그림책이나 환경 인쇄물에 관심을 가지며 글의 내용에 흥미를 가진다.
- 글자 형태 끼적이기에 관심을 가진다.
②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 범주와 연령별 내용
③ 의사소통 영역의 문학 관련 세부 내용
ⓐ 0~1세
ⓑ 2세
2. 아동문학교육의 접근법
1) 텍스트 중심의 문학교육
작품 자체를 분석하는데 의미를 두고 작품의 구조, 해석, 의미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주로 전문가들이 내놓은 작품해석과 견해를 지식 위주로 전달하는 교육방법이다.
2)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
- 작품에 대한 개개인의 주관적 반응을 강조한다.
- 발신자는 작가이며, 수신자는 작품을 읽는 개개의 아동이다.
- 교사는 단지 매개자의 역할을 하면서 아동들이 자신의 해석과 반응을 체계화하고 스스로 문학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창작할 수 있도록 동반자가 되어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