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연의 정의
구연은 말 그대로 입으로 연기하는 것이며, 아동들에게 이야기를 말로 연기하여 들여주는 것이다.
2. 구연의 특성
이야기의 내용을 자료의 매개 없이 직접화법을 중심으로 전달하는 구연은 아동들의 몰입과 감정이입을 유도한다. 부모, 교사 등의 성인과 이야기를 듣는 아동 사이에 공감과 친밀감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구연자의 표정과 목소리 변화를 직접 체감하고 듣는 과정은 구연자와 듣는 아동 간의 직접적 교류 과정이 되기 때문이다. 다른 매체를 통해 동화 감상을 할 때도 유아기에는 성인이 들려주는 구연이 동반하게 되며, 친밀한 성인이 들려주는 구연이 함께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3. 구연의 적용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동화감상 활동은 가정의 상황처럼 개별적이지 못하므로, 구연을 통한 감상활동은 부분적으로 적용 가능한 제한점이 있다. 자유선택 활동시간이나 유아 개별 및 소집단과의 정적인 시간을 일정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가질 수 있는 경우 등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대집단으로도 구연동화 감상을 운영할 수도 있으나, 유아들의 집중 능력을 감안할 때 만 4~5세 정도에서 진행하면 효과적이다.
구연은 이야기로만 내용이 전달되므로, 동화 내용이 이러한 전달 방식에 적합한 것인지 먼저 검토되어야 한다. 단순·명료한 구성, 논리적이며 명백한 진행, 뚜렷한 클라이맥스와 그에 따른 결말 등을 갖는 것이 좋다. 보통, 전래동화들은 구연을 통해 전해 내려온 이야기들로 구연동화에 적절한 내용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전래동화는 점진적이고 누적적 사건의 진행, 행동적 묘사가 잘 나타나 있어 구연에 적합하다.
4. 구연에 적합한 동화
① 등장인물의 성격이 분명하고 강하다.
② 동화의 배경이 단순하다.
③ 이야기 속에 흥미로운 구절이나 대화가 있다.
④ 풍부한 행동과 사건의 빠른 전개, 뚜렷한 클라이맥스와 결말이 있다.
⑤ 단순, 명료한 구성과 논리적이고 명백한 진행으로 이뤄진다.
5. 구연 방법
동화 구연의 기본은 이야기를 통해 다독거려 주고 매만져 준다는 느낌, 사랑의 실천을 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구연 방법은 고정된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다. 각자가 다른 음색과 음역, 고유성을 지닌 목소리를 지녔으므로, 유아들의 이해 정도를 고려하여 각자에게 맞는 방식의 구연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좋다.
구연하는 사람의 장점과 개성을 잘 살리면서 자신감 있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구연을 하기 위한 동화를 선정할 때 집단크기를 고려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 내용의 일부를 재화하고 길이를 조절하여 준비한다. 동화내용을 숙지하면서 내용과 등장인물의 성격에 따라 구연방법을 연구하고 연습해야 한다.
6. 구연 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이야기 속의 대화는 직접 화법을 사용한다. 대사와 해설 사이에는 간격을 띄워 이야기를 진행하는 것도 직접 화법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② 발음이 정확하게 들리게 구연하되, 이야기가 리듬감 있게 전달되도록 한다. 아동들이 단어와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연해야 한다. 하지만, 이야기 전개의 흐름, 리듬감이 저하되지는 않도록 해야 한다. 음절과 음절 사이의 간격도 떼어서 소리 낸다는 느낌으로 발음하면 발음이 정확하게 들릴 수 있다. 아동들이 알고 있는 쉬운 단어는 연음이 나도록 빠르게 발음해도 된다. 그렇지만, 처음 접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단어는 천천히, 또박또박 소리 내는 것이 아동들이 정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된다.
③ 내용의 흐름에 따라 구연의 높낮이와 속도를 적절하게 변화가 있도록 하여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음색의 변화도 표현한다. 필요한 상황에서 낮게, 높게 빠르게, 느리게 구연에 변화를 주면 이야기 전개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④ 반복되는 어휘, 의성어, 의태어, 동화의 내용과 관련된 노래를 활용하여 구연하면 이야기가 더 생동감 있고 흥미롭게 들릴 수 있다. 특히 등장인물이 동물일 경우 야~옹!, 어흥~, 깡총깡총, 살금살금, 쿵쿵 등 의성어나 의태어를 포함하여 구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등장인물이나 내용과 관련된 노래를 삽입하여 구연하는 경우, 유아들이 모두 아는 노래를 활용하면 더욱 공감대를 형성하고 아동들과 함께 흥겨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⑤ 적절히 자연스럽게 몸짓, 손동작 등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과도하게 표현하거나 너무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이야기의 감상을 방해할 수 있다.
⑥ 감상과정에서 이야기의 흥미를 저하시키는 질문이나 토의가 진행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아동들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질문이나 의견을 이야기하면 짧게 설명하거나 필요한 반응을 할 수 있다. 동기부여나 흥미유지를 위해 음악이나 소품을 활용할 수 있으며, 구연 중이나 후에 도덕적 훈계, 평가를 하지 않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