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Study

가족생활교육에서의 가치

2020. 5. 30.

1. 가족생활교육에서의 가치

가족생활교육에서 가치의 역할은 어떠한 가치가 가족생활교육에 포함되어야 하거나 포함되지 않는지, 가족생활교육사는 그들 자신의 개인적 가치를 프로그램 참여자들과 함께 나누어야 하는지,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가치에 관한 질문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초창기 미국 가족생활교육은 나쁜 것은 바로 잡고 좋은 것은 개인과 가족에게 가르쳐야 한다는 믿음에서 진행되었다. 이러한 신념에는 모든 사람은 같은 것을 믿어야 한다는 것과 가족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은 불변한다는 주장이 들어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가족생활교육의 과업은 옳은 일을 하도록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하면 이혼율이 감소하고, 아동은 적합한 환경에서 양육될 것이며, 가족이라는 제도는 안전해질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가치중립적인 과학의 실증적 측면이 지배적 관점이 되고, 가치란 상대적이며 개인적이라는 믿음이 확산되었다. 여기서 가치(Value)란 개인이 가진 높은 관심과 그러한 관심으로 무엇인가를 추구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 다니엘스(Daniels, 1975) : 우리에게 특정한 심리적 특징 또는 사람들의 신분에 대한 정보를 주며, 어떻게 세상을 평가하고 사정하는가 하는 개인의 평범한 입장을 위치 짓는 데 사용된다.
- 리처(Rescher, 1969) : 삶들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위하여 바람직한 삶이길 바라는 꿈(Vision)과 관련 있는 마음이다.
- 바이어(Baier, 1965) : 가치란 바람직한 삶과 어떻게 그것에 가까이 가는가에 관한 것이다.
- 로키치(Rokeach, 1973) : 가치는 모든 개인과 사회에 존재하는 열망의 핵심개념으로 사용되고 표현된다.
가치는 태도, 신념, 감정, 정서와 같은 심리학적 개념과 혼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해당 단어들이 일부 같은 특성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완전히 같은 개념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연은 건강에 나쁘다는 부정적 가치를 갖고 있으나, 그럼에도 흡연을 좋아할 수 있는 선호와 대립된다. 이처럼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은 특정 목표에 대한 책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어떤 특정 행동을 요구한다. 또 정직에 대한 가치를 가진다는 것은 개인이 사고하고 행동하는데 이와 같은 가치를 반영해야 함을 의미한다.


2. 가족생활교육사의 가치관

가족생활교육사가 지닌 가치는 교육 장면에서 가족생활교육 참여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가족생활교육사는 집단 참가자들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그들의 서로 다른 신념에 민감해야 한다. 가족생활교육을 비롯한 사회과학은 가치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신념 때문에 가족생활교육자가 가치판단을 한다는 것이 종종 문제시된 적이 있다. 그럼에도 교육의 핵심적인 부분은 결국 가치와 관련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이혼을 주제로 이야기하는 경우 이혼에 대해 가족생활교육사의 가치를 직접 언급하는 방법은 직접적 영향력을 미친다. 또 부부교육에서 이혼을 하지 않은 것을 전제로 이야기 함으로써 이혼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은연중에 전달하는 것은 간접적 영향력을 미친다.
그러므로 가족생활교육사는 다음과 같이 자신의 감정과 태도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① 서로 다른 가족 가치를 존중하고 표현해야 한다.
② 다양한 도덕적 관점에 민감해야 한다.
③ 규칙을 강요하지 않으면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④ 만족스러운 대인관계 능력을 길러낼 수 있어야 한다.


3. 사회 내 주요쟁점과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① 가족생활교육은 가족 가치를 위반한다.
② 학급에서 교사가 가치 간 차이를 잘 다루지 못하며, 학교에서 가치를 가르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③ 학교에서 해야 하는 일은 도덕적 권위가 아니라 과학적 탐구이다.
이러한 주장에 반대하는 입장은 다음과 같다.
① 훈련된 교사라면 가치 간 차이를 다룰 수 있다.
② 가치는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족생활을 교육하는 것은 부모의 특권이라고 여기는 입장에서는 학교에서 가족생활교육을 시행하는 데 반대한다. 반면 부모의 특권이라고 여기지 않는 입장에서는 가족이 가족생활교육을 배우기에 가장 좋은 장소이기는 하지만, 많은 부모가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보고 있다. 성교육 관련 등 주제에 따라 부모가 교육하기에 어색한 것이 있고, 과업에 대한 동기가 부족하여 가정에서 충분히 교육하기에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