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제도는 노후 소득 보장을 장기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더 이상 경제활동이 어려울 때 노후 대비를 위한 것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국민연금 하나만으로 노후가 보장되는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매년 오르는 물가를 보고 있자면 걱정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나중에 받을 연금으로 든든한 노후를 보낼 수 있을지 의문을 가지곤 합니다. 그래서 과거에 납부한 것을 현재 가치로 반영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를 하면 도움이 됩니다.
먼저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출생 연도에 따라 만 60세부터 만 65세가 되었을 때 받을 수 있습니다. 처음 만 60세는 1952년 이전에 출생하신 분이며 만 61세부터는 4년 단위로 늘어납니다.
▶ 출생연도별 국민연금 수급연령
출생연도 | 노령연금 수급연령 |
1952년 이전 | 만 60세 |
1953년~1956년 | 만 61세 |
1957년~1960년 | 만 62세 |
1961년~1964년 | 만 63세 |
1965년~1968년 | 만 64세 |
1969년~ | 만 65세 |
1953년부터 1956년생은 만 61세가 수급 가능한 나이이고 1957년부터 1960년생은 만 62세, 1961년부터 19643년생은 만 63세, 1965년부터 168년생은 만 64세입니다. 그리고 1969년생부터는 만 65세가 되면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가입한 모든 분이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소 10년 이상의 가입기간이라는 조건을 충족해야 매달 지급됩니다.
이처럼 가입 기간을 충족한다는 조건 하에 앞으로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중 가장 정확하고 편리하게 알아볼 수 있는 곳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화면 중앙쯤에 보이는 자주 찾는 민원서비스 항목을 선택합니다.
국민연금 함께 나누고 함께 누려요
보건복지부 산하기관. 가입 신청, 연금액 계산방법, 지급, 납입 기간, 대상, 급여액 조회, 기금운용 안내.
www.nps.or.kr
왼쪽에 내 연금 알아보기 항목이 보입니다. 국민연금 예상 연금액부터 개인, 퇴직, 주택연금 정보까지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바로 알아보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인증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인증 없이 조회하는 방법에는 자신이 원하는 소득 및 가입기간을 입력하는 모의 계산과 10년 이상 납입 후 알아보는 간단 계산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공인인증서 절차를 거치는 예상연금액 조회는 번거롭긴 해도 보다 자세한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는 홈페이지뿐 아니라 해당 공단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을 설치하면 스마트폰 등으로 언제 어디서든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댓글